NDC2021

게임 서버를 품은 쿠버네티스
데브시스터즈가 게임 인프라를 쿠버네티스에서 운영하는 방법

용찬호 데브시스터즈

현재 데브시스터즈의 R&D 센터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재직하고 있으며, <br/>주로 데브옵스에 관련된 인프라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. <br style='line-height:240%'/>데브시스터즈가 게임을 퍼블리싱하기 위해 필요한 쿠버네티스 중심의 기술 스택을 연구해 <br/>프로덕션에 도입하는 것을 주 업무로 하고 있습니다. <br style='line-height:240%'/>글쓰기를 좋아해 '시작하세요, 도커 그리고 쿠버네티스!' 라는 저서를 출간하기도 했으며, <br/>지식의 공유 및 전파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. <br style='line-height:240%'/>이번 발표에서는 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안정적으로 배포하고 <br/>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을 설명합니다. <br style='line-height:240%'/>발표가 끝날 즈음에는 '쿠버네티스에서도 게임을 안정적으로, 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'라는 <br/>자신감을 얻고 가실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.

데브시스터즈에서는 여러 개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축해 <br/>게임 서버 운영, 퍼블리싱,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용도의 인프라로써 활용하고 있습니다. <br style='line-height:240%'/>이 세션에서는 데브시스터즈가 쿠버네티스를 쓰는 이유 및 구축하기까지의 여정을 먼저 소개한 뒤, <br/>자동화된 GitOps 파이프라인을 통해 동일한 게임 환경을 반복해서 배포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서 설명합니다. <br style='line-height:240%'/>이에 더해 게임 퍼블리셔 입장에서 고려해야 할 쿠버네티스 멀티테넌시, 게임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를 <br/>쿠버네티스에서 운영해본 경험, 서비스 메시 및 모니터링 기술 스택 전반에 대해 설명합니다. <br style='line-height:240%'/>게임 인프라와 쿠버네티스를 접목시키는 것은 비교적 새로운 패러다임에 속하며, <br/>이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운영 또한 결코 쉽지는 않습니다. <br style='line-height:240%'/>이 세션을 통해 게임 인프라에 대한 새로운 시각뿐만 아니라, <br/>쿠버네티스 구축 경험에 대한 노하우 및 운영 지식 또한 얻으실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합니다.<br/>